Skip to content
Visual Portfolio

공장 같은 사회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되짚어보기

Writer: 서신욱

Visual Portfolio

아티스트의 흥미로운 작업을 파고듭니다

서신욱 작가는 런던에 거주하며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의 작품 세계에서 중요한 키워드는 ‘공장’이라고 할 수 있어요. 올해 서울과 런던에서 선보인 개인전에서도 사회를 하나의 거대 공장에 비유해 인간을 생산하고 상품화하는 생산 라인과 내구성 평가 실험실을 시각화하고자 했답니다. 이렇듯 현대미술 작가로서 구체적인 사회적 담론을 끌어내고자 하기에 그는 작업의 맥락성을 견고히 하기 위해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해요. 그리고 이 모든 과정에서 서신욱 작가는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며 현대 사회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존재가치에 대해 자기 자신에게 거듭 질문합니다. 작업을 둘러싼 더 많은 이야기는 아티클에서 한번 확인해보세요!

먼저 자기소개를 부탁드릴게요. 작가님은 어떤 분이신가요?

안녕하세요. 저는 서신욱 작가입니다. 서울에서 태어났고, 2013년부터 런던에서 생활하고 있어요. 주로 유럽에서 활동하다가 최근 서울에서도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이런 자기소개를 자주 안 해봐서 어색하지만… 그저 사람 만나서 노는 거 좋아하는 평범한 아저씨입니다.

지금의 창작자로 활동하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군대 훈련소에서 조그마한 노트에 이런저런 낙서를 끄적였는데, 그걸 본 동기가 칭찬해줬어요. 그 이후 그림 그리기에 관심을 두게 되었고 색연필로 간단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군대를 제대하고 그동안 그렸던 그림을 온라인 일러스트레이터 커뮤니티에 업로드했는데 제 포트폴리오를 좋게 봐주신 어느 출판사 편집장님이 연락을 주셨어요. 덕분에 어린이 동화 두 편의 삽화를 맡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정식 미술 교육을 받지 않았던 터라 본격적으로 일러스트레이션 공부를 하려고 영국 유학을 결심했는데요. 공부를 시작한 그해, 제가 그동안 하고 싶던 창작활동이 순수 미술의 영역과 더욱더 맞닿아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이후 순수미술 전공으로 학교에 진학해서 다양한 매체를 사용해 작업하게 되었어요.

작가님의 작업 공간이 궁금해요. 편하게 소개해주시겠어요?

작업실은 런던 동부에 있는데요. 땅콩을 가공하던 공장을 스튜디오로 개조한 건물 1층을 2년째 사용 중입니다. 공장으로 쓰였던 건물이라 그런지 층고가 높고, 환기를 시키는 큰 창문이 있습니다. 조소 작업을 하는 저에게는 최적의 장소라 감사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 작품의 부피가 커서 작업실의 절반은 작품을 보관하는 창고로 이용해요. 그래서 가끔 제 공간이 작업실이라기보다 물류창고 같다고 생각할 때가 있죠, 나머지 공간은 컴퓨터 작업을 하는 데스크 공간과 휴식을 취하는 소파 베드, 커피 테이블로 구분해 쓰고 있어요. 가끔 밤새야 할 상황이 오면 소파 베드에서 잠깐 눈을 붙이기도 하죠. 그 맞은 편에는 다양한 메이킹을 할 수 있는 큰 워크 테이블이 있고, 바로 옆에는 두 대의 3D 프린터가 항시 무언가를 프린팅하고 있습니다. 보통 벽면과 바닥은 제작 중인 작품과 재료로 어질러져 있어요. 제게 스튜디오는 집보다 소중한 공간입니다. 하루 중 그곳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여러모로 애착이 있어요. 이제 조금 바쁜 일들이 지나갔으니 깨끗하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Biometric Syndrome›, 2021, Steel, DC motor, controller box, silicone, 130 x 156 x 40cm, 59초

작가님은 영감을 주로 어디서 얻으시나요?

영감을 얻기 위해 무언가에 집중하고 탐구하기도 하지만, 일상에서 보고 느끼고 경험했던 사소한 것의 상호작용이 보통 제 영감의 매개체가 됩니다. 그런 일상에서의 사건, 상황이 머릿속에 중첩되고 형태 없이 떠다니다가 특정 순간에 시각화되어 영감으로 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래도 무언가를 경험하는 일이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동안 일상에서 해보지 않았던 새로운 시도를 하려고 노력해요. 새로운 시도라고 해서 특별한 것은 없습니다. 멀리 돌아가더라도 평소에 가던 길이 아닌 낯선 곳을 걷는다든가, 가보지 않았던 상점에 들어가 기회가 되면 상인과 이야기를 나눈다든가 등이죠. 저는 원체 익숙함에 안주하는 편이라 그런 새로운 시도를 귀찮아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저 자신을 꾸준히 괴롭히며 익숙한 상황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는 편이에요. 이전 경험을 통해 안정적인 환경에서 영감을 받기란 굉장히 어렵다는 것을 많이 느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주변인 혹은 잠깐 마주친 사람과의 대화에 집중하려 귀를 기울입니다. 인간 개개인의 생각과 경험의 공유를 듣고 수집하는 건 제 작품의 중요한 요소이자 큰 자산이기에 평소에도 사람과의 대화를 즐깁니다.

말로 설명하기 어렵겠지만, 작가님은 작업하실 때 어떤 창작 과정을 거치시나요?

보통 작품 제작보다 구상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합니다. 작품의 전체적인 시각 이미지도 중요하지만, 그 작품이 품은 내러티브와 맥락을 균형 있게 일치하는 걸 가장 중시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을 작품 구상에 할애합니다. 그리고 기술적인 문제를 고안하며 해당 작품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해요. 보통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해서 실제와 최대한 비슷하게 설계하고 렌더링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그리고 완성한 도면을 통해 메이킹을 시작합니다. 사실 메이킹을 하면서 많은 문제를 직면하느라 매번 힘든 순간이 찾아오지만, 그 또한 하나의 과정이라고 생각하며 최대한 긍정적인 태도로 헤쳐 나갑니다. 실패를 통해 더욱더 나은 결과물을 얻는 편이라 그 과정을 즐기는 편입니다.

작가님의 최근 작업들이 궁금합니다. 몇 가지 작품을 예로 들어 소개해주시겠어요?

지난 4월과 9월에 서울과 런던에서 개인전을 열었어요. 두 전시 모두 사회를 하나의 거대 공장에 비유해 인간을 생산하고 상품화하는 생산 라인 혹은 내구성 시험 평가 실험실을 시각화했는데요, 전체적인 콘셉트는 같지만, 세부적인 내러티브와 맥락 측면에서 상이한 모습을 구현했습니다. 파운드리 서울에서 처음 선보인 국내 개인전 «서신욱 개인전: PLAYTHINGS»에서 ‹The Fabulous Life #2›(2022)와 ‹Six Feet Under (Durability Test #6)›(2022)라는 두 가지 키네틱 작업을 선보였어요.

«서신욱 개인전: PLAYTHINGS» 설치 전경 © Kyung Roh

메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는 ‹The Fabulous Life #2›는 실제 공장에서 쓰이는 리니어 모터가 아래위로 움직이며 거대한 아크릴판을 계속 기울입니다. 아크릴판에는 쇠구슬 형태의 볼 베어링 여러 개가 기울기를 만들어내는 단차에 따라, 파편화된 신체 조각 고정물 사이를 한 방향으로 전진하며 수많은 상호작용을 부르죠. 부딪치고 튕기어 방향이 틀어지고 때로는 전진하지 못한 채, 신체 조각의 일부처럼 편입되어 특정 형상을 이루기도 합니다. 모터가 야기하는 단순하고 강력한 제스처를 통해 민감하고 무기력하게 반응하는 볼 베어링의 모습을 중점적으로 묘사한 것인데요, 이를 통해 저 자신이 경험하고 탐구한 현대 사회의 억압적인 구조와 이데올로기의 작동 방식을 거시적으로 시각화하고자 했습니다. 그리고 공장 혹은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상분리기를 상상하며 작품을 구현했습니다.

‹The Fabulous Life›, 2021, Steel, PET-G, motor, motor controller, perspex, ball bearings, cigarettes, 160 x 285 x 72cm, 1분 43초

‹Six Feet Under (Durability Test #6)›(2022)는 동일한 형태의 철골 구조물 4개가 하나의 작품이 됩니다. 하나의 금형에서 제작한 네 개의 인간 형상은 신체의 피부와 가장 흡사한 화학물질인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형상은 각각의 철골 구조물에 매달려 있고, 같은 간격으로 정렬했습니다. 그리고 하단에 설치한 모터가 이를 지속해서 움직입니다. 가장 원초적인 인간의 모습을 실리콘으로 형상화하고 이데올로기에 의해 사회적 객체로 완성되는 현대인의 모습을 단편적으로 표현한 작품입니다. 이는 6번째 연작으로 앞으로도 다른 형태와 방식의 작품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So Glad to Be Back›, 2022, Bespoke garments, Perspex, silicon, steel, motor, motor controller, ball bearing and 3D printed PTG, 189 x135 x 84cm, 38초

파운드리 서울 전시에서 등장했던 실리콘은 제 작품 속에서 형상화된 인간의 제조 공정 중 첫 번째 단계를 상징합니다. 저는 런던의 ‘자블루도비치 컬렉션Zabludowicz Collection’에서 선보였던 세 가지 작업인 ‹So Glad to Be Back›, ‹Hold me Tight›, ‹Better Luck Next Time #2›를 통해 다음 공정을 시각화하길 원했고 제2의 피부라 불리는 의복을 떠올리게 되었습니다. 의복은 인간의 형상을 구조적으로 가장 잘 표현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정보를 지니고 있습니다. 저는 현대 사회에서 인간이 의복을 입으며 사회화가 시작된다고 생각합니다. 인구 증가와 산업화로 인해 대량으로 생산한 의복은 현대 사회를 함축적으로 가장 잘 반영하는 물건 중 하나이기도 하죠. 의복은 인간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신체와 유사한 모양으로 디자인되었습니다. 저는 직물이 가지는 물질성보다는 그것이 옷의 재료가 된다는 목적성에 더욱 초점을 두고 이번 전시를 구상했습니다. 그리고 두 가지 서로 다른 부류의 물질인 직물과 철을 사용해 사회에 종속된 인간의 모습,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 권력의 움직임에 대해 고찰합니다.

‹Hold Me Tight›, 2022, Bespoke garments, Perspex, silicon, steel, motor and motor controller, 23 x 190 x 230cm, 1분 55초

최근 작가님이 작업을 통해 가장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무엇이었나요?

저는 현대미술을 다루는 작가로서 구체적인 사회적 담론을 끌어내는 중간 과정을 수행하는 지점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제 작업의 맥락성을 견고히 하기 위해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근래 들어 제가 가장 강조하고 싶은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해 가장 많이 고민하는 것 같아요. 궁극적으로 작업을 통해 내가 어떠한 생각을 도출하려는지, 또한 관객에게 전달하려는 메시지가 무엇인지는 아직도 구체화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희미하게나마 말씀드릴 수 있는 한 가지는 작업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다양한 환경을 경험하며 마주한 개개인을 되새기며 저는 수없이 많은 성찰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현대 사회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존재가치에 대해 저 자신에게 질문해봅니다. 아마 그러한 저의 고민을 작품으로써 강조하고 있지 않나 조심스럽게 말씀드립니다.

최근 진행한 작업에서 작가님이 만족하는 부분과 불만족하는 부분이 궁금합니다.

한동안 작업에 색을 쓰지 않던 기간이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색의 사용이 작품 맥락에 끼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굉장히 두려웠던 것 같아요. 그런데 최근 작업부터 그런 두려움이 많이 사라졌고 예전처럼 색을 다양하게 써봐야겠다는 자신감을 되찾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최근에 진행했던 작업부터는 자유롭게 색을 쓰기 시작했는데, 이 부분이 가장 만족스럽습니다. 또한 작가로서 이런 말을 하는 게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사실 제 작업에 만족하지 못하는 편입니다. 애정을 담아 모든 작업에 임하지만, 완성 후 전시를 진행하면 곳곳에 수정할 부분과 더 보완할 부분이 눈에 밟혀 항상 머리가 복잡해집니다. 지속해서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나가려고 노력합니다.

런던의 ‘자블루도비치 컬렉션Zabludowicz Collection’에서 선보였던 세 가지 작업인 ‹So Glad to Be Back›, ‹Hold me Tight›, ‹Better Luck Next Time #2

평소 작가님이 일상을 보내는 방식에 대해서 여쭤봐도 될까요?

보통 남들보다 하루를 늦게 시작하고 늦게 마무리하는 편입니다. 아침 10시 혹은 11시 정도에 일어나 스튜디오에 갈 준비를 합니다. 안타깝게도 스튜디오 근처에 식사할 곳이 마땅치 않아 시간적인 여유가 있으면 점심 도시락을 준비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가는 길에 샌드위치 등을 사갑니다. 스튜디오에 도착하면 커피를 마시면서 그날 작업할 것 혹은 해야 할 문서 작업이 무엇인지 파악합니다. 열심히 작업하고 중간에 허기가 지면 늦은 점심을 먹고 다시 작업합니다. 작업 도중 아이디어를 정리할 겸 밖으로 나가 산책을 하기도 합니다. 스튜디오 바로 옆 하천을 따라 걸으면서 머리와 몸을 식힙니다. 다시 스튜디오에 돌아와 작업을 이어 갑니다. 저는 밤늦게까지 작업하는 것을 좋아하는데요. 아무도 없는 스튜디오 건물에서 혼자 조용히 작업하면 집중이 잘됩니다.

요즘 작가님이 가장 관심을 두는 것은 무엇인가요?

바쁜 일정들이 거의 마무리가 되어서 마음 놓고 쉬어보려고 합니다! 올해 여러 일정을 소화하느라 제대로 쉬지 못해 많이 지쳐있는 상황입니다. 여행을 갈지 아니면 집에서 쉬면서 하고 싶었던 게임을 할까 고민하는 것이 최근의 관심사입니다.

작가님이 삶을 대하는 태도는 작업에 어떻게 묻어나나요?

제 작업은 보통 공장의 모습을 보여주는데요, 이는 쉴 새 없이 작업에 몰두하는 제 모습을 반영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해요. 저는 성격상 쉬는 것에 대한 강박감이 있습니다. 그래서 의식적으로 일과 휴식의 균형을 맞추려 하지만 쉽지 않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무의식적으로 그러한 면모가 제 작업에 드러나는 것 같아, 조금 슬프네요…

혹 슬럼프가 올 때는 어떻게 극복하시나요?

친한 친구와 만나 정신없이 놀고먹습니다. 그리고 중간중간 신세 한탄하며 현시점에서 힘든 부분을 장황하게 설명합니다. 사실 어떠한 대안을 구하는 것보다 그 대화를 통해 제 생각을 정리하며 안정을 찾는 편입니다. 이를 들어주는 친구에게 조금 미안한 마음이 있지만 이렇게 해야 슬럼프를 조금이라도 극복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영감받을 수 있는 전시를 찾아보고 정처 없이 돌아다닙니다. 생각을 비우고 채우고 반복하다 보면 어느 정도 극복이 되는 것 같습니다.

최근 들어 작가님에게 찾아온 가장 현실적인 문제는 무엇인가요?

어떻게 하면 작가라는 직업을 지속해서 영위할 수 있을지 고민입니다. 대부분의 작가들이 공감하시리라 믿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이 문제가 현실적으로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한국이 그립습니다…

작가님이 중시하는 창작자의 태도와 철학을 알려주시겠어요?

아무래도 본인의 생각과 철학을 전면에 내세우며 많은 관심을 받는 직종이기에 가끔은 독단적이고 이기적으로 성향이 바뀔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항상 자신을 낮추고 과대평가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작업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냉철한 시선을 가지려고 노력합니다. 자기 오만에 빠지는 것만큼 큰 불행은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주변의 칭찬에 감사하되 절대 안주하지 않고 제삼자의 비평에 감사하는 태도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Hey, It is me!›, 2021, Steel, motor, controller box, petg, cigarette package, aluminium can, socks, digital print on aluminium, 62 x 215 x 73cm, 27초

좋아하는 것을 지속하려는 다른 창작자에게 건네고 싶은 노하우나 팁을 공유해주시겠어요?

팁이라고 할 만한 것이 있을까 싶습니다… 우리, 힘들어도 다 같이 이겨냅시다… 그래도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으니 얼마나 운이 좋습니까!

작가님은 사람들에게 어떤 창작자로 기억되고 싶나요?

작업이 멋진 유쾌한 작가로 기억되고 싶네요.

현재 작가님이 품고 있는 이상적인 미래는 어떤 모습인가요?

지금보다 열정 넘치고 창작 욕구가 불타올라 종일 작업에 매진하는 할아버지 작가의 모습? 아 그리고 건강했으면 좋겠네요.

Artist

서신욱은 억압적인 사회 구조와 이데올로기의 작동 방식,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무력한 모습을 풍자적인 키네틱 조각으로 탐구한다. 영국 Zabludowicz Collection(2022), BEERS London(2021), Unit1 Gallery|Workshop(2018), Daniel Benjamin Gallery(2018), 한국 Foundry Seoul(2022)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스페인 Colección SOLO, Cerquone Gallery, 런던 주영국한국문화원, 독일 Art Biesenthal, 프랑스 La Totale를 비롯한 유럽의 주요 갤러리에서 기획한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2018년 Unit 1 Gallery | Workshop 솔로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입주했고, 2022년 영국 왕립조각가협회 Gilbert Bayes Awards를 수상했다.

결과(4)

Thank You for Subscription!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비애티튜드»는 매주 금요일 아침 10시 1분, 창작자의 반짝이는 감각과 안목을 담은 소식을 메일함에 넣어드립니다.

결과(4)